PER이란?
- 주가 수익 비율
- 투자금을 몇 년 안에 원금 회수가 가능하느냐
(PER가 100이다 -> 100년 걸린다)
- 일반적으로 성장성이 꾸준한 주식은 기대수익률을 6%로 봄 -> PER = 16.6
- 우량주 적정 PER : 16~33
계산방법
- 시가 총액 / 당기순이익
(시가 총액 = 주가 * 주식 수)
- 주가 / EPS(주당순이익)
- 100 / 기대수익률(%)
PER가 높은 기업은 왜 높을까?
- 기업의 당기 순이익이 들쭉날쭉해서 높은 시점이 있는 경우도 있음
- 그러므로 PER에 너무 얽매이지 말아라.
업종 평균 PER
- 금융 : 5
- 건설 : 7
- 제약 : 106
- 헬스케어 : 138
- IT부품 : 24.4
- 통신 : 13
- 게임 : 32
- 자동차 : 44
- 화학 : 56
- 화장품 : 86
업종 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?
- PER이 낮은 건 성장성을 낮게 본다는 뜻
- PER이 높은 건 성장이 빠를 거 같으므로 미리 가서 기다리고 있어서 높음 (투자자가 유망하게 본다)
- 저 PER 투자: 남들이 소외시킨 거 샀다가 시절이 바뀌어서 관심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것
- 고 PER 투자: 지금 당장 좋게 보는 것, 이변만 없으면 좋을거야 라고 생각하는 것. (모멘텀 투자)
- 코스피 평균 PER : 11
PER의 문제점
- 미래 이익이 반영되어 있지 않음
- 주가는 꿈을 먹고 자란다. 미래를 반영
- 순이익은 과거를 반영
- PER = 미래 / 과거 -> 뒤죽박죽인 이유
-> 시점을 맞추자. 순이익을 미래로 바꾸자.
-> 순이익이 빠르게 상승하는 기업에 투자하자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KsE1pfA0Y3Q
'경제 >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] 용어 공부하기 (PSR) (0) | 2023.07.29 |
---|---|
[주식] 용어 공부하기 (ROE) (0) | 2023.07.29 |
[주식] 용어 정리 (투자지표) (0) | 2023.07.28 |
[주식] 용어 정리 (현금흐름표) (0) | 2023.07.28 |
[주식] 용어 정리 (재무상태표) (0) | 2023.07.28 |